표 1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수용 관련 교육 내용

영역 ‘비판적 수용’ 관련 역대 교육과정 내용7) 교육 내용의 중점
읽기 글을 비판적으로 읽는다(1차). 글을 비판적으로 읽도록 한다(2차). 의견이나 주장의 가부․적부 판별(3차). 논의의 전개가 타당한지 판단하며 읽는다(4차). 텍스트 내용 중심으로 정확성과 타당성에 대한 평가
같은 일이나 사건에 대한 주장이나 느낌을 나타낸 글을 비교하여 관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그 신뢰성을 판단한다(5차). 생각이나 느낌이 효과적으로 표현된 부분을 찾아 발표하고, 표현상의 특징이나 그 효과에 대하여 말한다(6차). 표현의 효과를 평가하며 글을 읽는다(7차). 텍스트의 내용과 표현 형식의 적절성과 신뢰성까지 포함
시대적․사회적 배경, 문화적 전통 등을 고려하여 글의 의미를 해석한다(2007). 자신의 삶과 관련지으며 글의 의미를 해석하고 독자의 정체성을 형성한다(2012). 매체에 드러난 다양한 표현 방법과 의도를 평가하며 읽는다(2015). 텍스트 소통 및 생산 및 유통의 맥락까지 포함
듣기 말하는 사람의 형편을 생각하여 듣고, 그 사람의 기분이나 진의를 안다(1차). 내용을 비판하면서 들을 수 있도록 한다(2차). 들은 내용에 대한 비판(3차). 선택한 소재들이 화제나 주제에 맞는지 판단하며 듣는다(4차). 말하는 내용의 타당성과 공정성에 대한 판단
화제의 내용이 효과적으로 선정․조직되었는지 판단하며 듣는다(5차). 내용 조직의 논리성, 표현의 정확성 및 적절성 등을 고려하여 듣고, 이야기의 전달 효과를 평가한다(6차). 전달 효과를 평가하며 듣는다(7차). 말하는 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적절성 판단과 전달 효과 평가
의사소통의 시공간 및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2007). 담화에 나타난 설득의 전략을 파악하고 평가한다(2012). 매체 자료의 효과를 판단하며 듣는다(2015). 의사소통 시공간 및 사회문화적 맥락, 매체 환경에서의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