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 인성 역량 | 무용인에게 인성은 삶의 바탕이 되는 동시에, 깊은 예술성을 추구하고 품격을 높이는 원천이 된다. 무용인성 역량이란 무용학습과 수행 상황에서 무용인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역량을 의미하여, 무용을 대하는 태도, 개인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인격과 품성 등을 의미한다. |
무용 기능수행 역량 | 무용기능수행은 예술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소인 동시에 전문성을 쌓아가는 토대가 된다. 무용기능수행 역량이란, 무용기초실기 및 신체 관리를 통해 무용의 원리와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수행하며, 자신의 전공무용의 미적요소를 해석하고 표현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
무용 지식확장 역량 | 무용인에게 지식은 무용기능의 수행과 예술의 다면적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무용지식확장 역량이란, 무용교과 전문교육을 통해 획득된 지식을 이해하고 타 예술장르 및 학문, 경험적 지식을 무용학습과 수행으로 확장해가는 역량을 의미한다. |
무용창의 역량 | 무용에서 창의란 움직임으로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고 나누는 것으로, 과정과 결과를 포함한다. 무용창의 역량이란 무용인으로서 요구되는 창의성을 함양하고, 무용수행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
무용 실전수행 역량 | 실전상황에서 자신의 기량을 십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처하는 또 다른 역량이 요구된다. 무용실전수행 역량이란 주제의 전달 및 작품표현능력, 심리조절능력 등을 바탕으로 개성과 특성,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공연이나 평가와 같은 실전상황에서 무용예술 수행을 표출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
무용 진로개발 역량 | 예술계고등학교 재학 시기는 평생에 걸쳐 종사해야 할 무용분야의 진로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무용진로개발 역량이란 전문무용인으로서 가치관을 형성하고 적성을 파악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스스로의 진로를 파악하고 개발해가는 역량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