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체계표(교육부, 2015, p. 8)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초등학교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학년
1∼2학년 3∼4학년 5∼6학년
► 쓰기의 본질 쓰기는 쓰기 과정에 서의 문제를 해결하며 의미를 구성하고 사회적으로 소통하는 행위이다. • 의미 구성 과정 • 문제 해결 과정 • 사회적 상호 작용 • 맥락 이해 하기• 독자 분석 하기• 아이디어 생산하기• 글 구성하기• 자료·매체 활용하기• 표현하기• 고쳐쓰기• 독자와 교류 하기• 점검·조정 하기
► 목적에 따른 글의 유형 • 정보 전달 • 설득 • 친교·정서 표현► 쓰기와 매체 의사소통의 목적, 매체 등에 따라 다양한 글 유형이 있으며, 유형에 따라 쓰기의 초점과 방법이 다르다. • 주변 소재에 대한 글• 겪은 일을 표현하는 글 • 의견을 표현 하는 글• 마음을 표현 하는 글 • 설명하는 글 [목적과 대상, 형식과 자료]• 주장하는 글 [적절한 근거와 표현]• 체험에 대한 감상을 표현한 글 • 보고하는 글• 설명하는 글[대상의 특성]• 주장하는 글[타당한 근거와 추론]•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글• 매체의 특성 • 설득하는 글• 정서를 표현하는 글
► 쓰기의 구성 요소 • 필자·글·맥락► 쓰기의 과정► 쓰기의 전략 • 과정별 전략 • 상위 인지 전략 필자는 다양한 쓰기 맥락에서 쓰기 과정에 따라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 글자 쓰기• 문장 쓰기 • 문단 쓰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조직• 독자 고려 • 목적·주제를 고려한 내용과 매체 선정 • 내용의 통일성• 표현의 다양성•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설명• 고쳐쓰기 [일반 원리] • 쓰기 맥락• 고쳐 쓰기 [쓰기 과정의 점검]
► 쓰기의 태도 • 쓰기 흥미 • 쓰기 윤리 • 쓰기의 생활화 쓰기의 가치를 인식 하고 쓰기 윤리를 지키며 즐겨 쓸 때 쓰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쓰기에 대한 흥미 • 쓰기에 대한 자신감 • 독자의 존중과 배려 • 쓰기 윤리 • 책임감 있게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