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과 한국 윤리사상 | 동양과 한국의 연원적 윤리사상은 각각의 인간관에 기초하여 인간의 행복과 사회적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 1. 사상의 연원 : 인간의 행복과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①동양윤리사상의 연원 ②한국윤리사상의 연원 | ○ 윤리적 성찰 및 실천 성향 • 동양과 한국윤리사상 이해하기 • 사상의 관점 비교·성찰하기 • 삶의 의미와 지향 설정하기 • 윤리적 실천 방안 제시하기 • 수양 방법의 이해 및 실천하기 |
사람에 대한 사랑인 인(仁)을 강조하는 동양의 유교사상은 도덕의 성립 근거와 도덕법칙의 탐구 방법에 대해 상대되는 접근법과 입장을 지닌 학설들로 전개되었다. | 2. 인의 윤리 : 사랑(仁)에 기반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①도덕의 성립근거 : 도덕적 마음과 제도적 규범 ②도덕법칙의 탐구 방법 : 사물의 이치 규명과 주체의 도덕성 회복 |
한국유교는 인간의 선한 마음의 규명과 그 실천 방법에 대해 깊이 탐구한 조선성리학으로 발전 되었고, 성리학의 사변 철학적 한계는 실증적·실용적 성격의 실학을 통해 비판되었다. | 3. 도덕적 심성 : 한국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①도덕감정 : 순수한 도덕본성의 발현과 일반감정의 도덕적 조절 ②도덕본성 : 이법적 실체와 마음의 기호 |
한국 전통윤리사상은 근대의 격변기에 대처해서 다양한 발전 노력을 경주하였고, 동양윤리사상이 지향한 이상적 인간상은 오늘날의 올바른 자아 완성과 도덕적 사회구현을 위한 규범 및 가치의 원천을 제공한다. |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윤리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일까? ①한국 전통윤리사상의 근대적 지향성 ②동양의 이상적 인간상과 시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