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중국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 각 항목들의 내용

학년군 쓰기 영역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
1-2 1. 말을 글로 적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주변 사물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며, 자신이 하고 싶은 말과 상상하는 사물을 글로 적는다.2. 말을 글로 적는 데에 있어 읽기와 삶에서 배운 단어들을 기꺼이 활용한다.3. 표현의 필요에 따라 쉼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를 활용하기를 배운다.
3-4 1. 기꺼이 글로 표현하려고 하고,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한다. 다른 사람과 글쓰기의 기쁨을 기꺼이 나눈다.2. 주변의 세계를 관찰하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게 자신이 보고들은 것, 느낀 것과 상상한 것을 쓴다. 가장 신기하고 재미있거나 가장 인상 깊고 감동적인 내용을 분명하게 쓰도록 주의한다.3. 간단한 편지나 메모로 소통할 수 있다.4. 글쓰기에서 자신이 평소 쌓은 언어적 자료들을 활용하기를 시도한다. 특히 신선미가 있는 단어들과 문장들.5. 글쓰기에서 분명히 틀린 단어와 문장을 수정하기를 배운다.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콜론, 따옴표 등 문자부호를 올바르게 사용한다.6. 수업에서의 글쓰기 연습은 매 학년 16회 정도.
5-6 1. 글쓰기는 자아표현과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2. 주변의 사물을 유심히 관찰하는 습관을 기르고, 자신의 견문을 의식적으로 풍부하게 하며, 자신의 독특한 느낌을 소중히 하고, 글쓰기 소재를 축적한다.3. 간단한 사실적 글과 상상적 글을 쓸 수 있다. 내용은 구체적이어야 하고 감정은 진실해야 한다. 내용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단락으로 나누어 표현한다. 독후감 쓰기와 흔히 접하는 실용문(實用文)을 배운다.4. 자신의 글을 수정하고 자발적으로 타인의 글과 교환하여 서로 수정한다. 문장이 매끄럽고, 격식이 정확하며, 글씨가 규범에 맞고 깨끗해야 한다.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흔히 사용되는 문장부호를 올바르게 사용한다.5. 글쓰기는 어느 정도의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수업에서의 글쓰기는 매 학년 16회 정도.
7-9 1. 글쓰기는 진실한 감정이 있어야 하고, 자신이 자연, 사회와 인생에 대한 느낌, 체험과 생각을 표현하려 노력한다.2. 삶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관찰하고, 삶의 풍부함과 다채로움을 발견한다. 사물의 특성을 포착하고, 자신의 느낌과 생각이 있으며,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3. 글쓰기 과정에서의 소재 모으기, 내용 생성하기, 초고 쓰기, 수정하기 등 단계에 주의하며, 독립적으로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4. 글을 쓸 때 서로 다른 목적과 대상을 고려한다.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표현하려는 바를 중심으로 적합한 표현 방식을 선택한다. 내용의 선후(先后)와 상략(詳略)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고, 자신의 뜻을 조리 있고 분명하게 표현한다. 연상(聯想)과 상상을 통해 표현한 내용을 더 풍부하게 한다. 흔히 사용되는 문자부호를 올바르게 사용한다.5. 서사적인 글을 쓸 때, 표현의 의도가 명확하고, 내용이 구체적이고 풍부해야 한다. 간단한 설명적인 글을 쓸 때, 명확하고 분명해야 한다. 간단한 논설문을 쓸 때, 관점이 분명하고 근거가 있어야 한다. 필요에 따라 흔히 접하는 실용문을 쓴다.6. 글에서 주요 정보를 추출하고,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주요 내용과 자신의 합리적인 상상에 따라 확장하여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장르나 표현 방식 등을 바꿔 쓸 수 있다.7. 표현의 필요에 따라 어감과 국어 상식에 근거해 자신의 글을 매끄럽게 수정할 수 있다. 느낌을 공유하고 생각을 소통하기 위해 타인과 글쓰기 소감을 교류하고 서로의 글을 평가·수정한다.8. 글쓰기는 매 학년 최소 14회 해야 한다. 기타 글짓기 연습을 최소 1만 글자여야 하고, 45분 내에 최소 500자의 글을 작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