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 프로그램 | • 교육과정의정상운영,• 체육과교육과정운영충실• 중학교‘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 중·고체육수업확대• ICT활용수업의질제고• 학교체육연구·시범학교 운영의내실화 | • 스포츠활동참여기회확대•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운영 내실화• 학교단위 스포츠 클럽 운영 의무화• 자율체육활동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학교체육과 생활체육 연계강화(종합형 스포츠클럽 활성화, 클럽리그제 운영• 학교체육활성화창의경영학교 운영• 학교체육활성화 지원확대 | • 공부하는 학생선수상 정립-학생선수 학습권 보장제• 축구주말리그 사업 추진 협조 |
• 체육활동 중요성 인식 개선 |
지도자 | 교사 | • 체육활동 우수학교 및 유공자 표창• 초등교사 직무연수과정 개설 운영• 체육(담당) 교사 전문성 강화 및 연구대회 활성화•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 | |
스포츠 강사 |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지원• 스포츠강사 배치 확대 및 처우개선 | |
코치 | | | • 학교운동부 운영의 투명성제고• 학교 운동부 지도자 고용안정 및 처우개선 관련 정책 실시• 학교운동부지도자 연수 강화 |
학습자 | 일반 학생 | •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시행• 학생 건강체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건강체력교실)•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촉진 프로그램 확대• 체육에 소질이 있는 학생 지원 | • 학교스포츠클럽 육성 및 활성화• 학교스포츠클럽 확대 및 스포츠 리그 활 성화(여학생스포츠클럽활성화)• 체육동아리활성화• 신체활동 7560+ 운동 전개• 1일 1운동 즐기기, 1교1기 실천 | |
운동선수 | • 운동선수 및 특기생 관리• 학생선수 인권보호-학생선수 폭력근절 |
환경 인프라 | 시설 | • BTL 체육관 및 다목적교실확충 • 잔디운동장조성사업추진• 다양한 학교운동장 조성 • 시설안전점검 및 효율적 관리 |
법 제도 | • 학교체육진흥 관련 법·제도 개선• 학교체육진흥위원회 확대 구성 및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