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기초학력 정책 효과 분석을 위한 변인

연도 주요 변인 빈도 평균
09년 대비 정책 효과 2009년 기초학력미달 학생(국, 영, 수) 비율(%) 1,457 6.85
2010년 국어 기초학력미달 학생비율(%) 4.21
2010년 수학 기초학력미달 학생비율(%) 5.01
2010년 영어 기초학력미달 학생비율(%) 4.16
2010년 기초학력미달 학생(국, 영, 수) 비율(%) 4.47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186 12.77
 학급 28.06
 학생 999.91
 교사 60.22
 기초생활수급 대상자 42.96
학교유형(%)
 공립 831 57.04
 국립 11 0.75
 사립 615 42.21
10년 대비 정책 효과 일반학교 1,312
 학생 1047.20
 기초생활수급 대상자* 136.75
 다문화학생* 105.07
 교사수 57.15
 석사학위소지자 22.31
 연수 29.54
 기간제=1 0.43
 2010년 지정 0.03
 2009년 지정 0.05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146
 학생 492.51
 기초생활수급 대상자* 88.01
 다문화학생* 50.47
 교사 31.12
 석사학위소지자 12.03
 연수 17.75
 기간제=1 0.45
 2010년 지정 0.97
 2009년 지정 0.87
11년 대비 정책 효과 학생수 135 167.53
방과 후 특별보충 수업 0.92
방학 중 특별보충 수업 0.70
담임교사 책임제 0.77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10.65
교사풍토 3.38
학생풍토 2.75
교우관계 3.13
교사와의 관계 2.81
학교풍토 2.65
학업적효능감 2.43
기초생활수급 대상자와 다문화 학생은 고등학교 전체 학년에서 집계된 숫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