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창의성의 교육요소(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인지적 특성 사고의 확산 확산적 사고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가능성이나 아이디어를 생성해 내는 사고 능력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등
상상력 이미지나 생각을 정신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마음의 눈으로 사물을 그릴 수 있는 능력
은유·유추 둘 혹은 그 이상의 사물이나 현상, 또는 복잡한 현상들 사이에서 기능적으로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내적 관련성을 알아내는 능력
사고의 수렴 논리·분석적 사고 적절한 것을 찾아내고 합리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
비판적 사고 편견, 불일치, 견해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 분석적 사고,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력 문제 발견 창의적인 성취나 수행을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능력
문제 해결 문제를 인식하고 현재 상태에서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진행해 가는 일련의 복잡한 사고활동
성향적 특성 독립성 용기 모험이나 개척자 정신이 강하고 위험을 무릅쓰더라도 원하는 것을 성취하는 성향
자율성 다른 사람의 말에 쉽게 흔들리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의 선택과 행동을 하는 성향
독창성 생각이 유연하며 관습적이고 상투적인 것을 거부하는 성향
개방성 다양성 새로운 아이디어나 다른 견해를 잘 수용하고 새로운 경험과 성장에 개방적이며 편견이 없는 성향
복합적 성격 서로 모순되는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무런 갈등도 느끼지 않고 똑같은 강도로 두 가지를 모두 경험하게 되는 성향
애매모호함에 대한 참을성 모호함을 잘 견뎌냄으로써 문제의 어려운 측면이 해결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성향
감수성 오감을 통해 들어오는 다양한 정보에 대해 민감한 관심을 보 이는 성향
동기적 특성 몰입 어떤 활동에 깊이 빠져들어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나아가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되는 심리상태
호기심, 흥미 항상 생동감 있게 주변의 사물이나 현상에 의문을 갖고 끊임없이 질문을 제기 하는 성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