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C3 framework Dimension 2 시민교육 – 참여와 숙고 도달점

2학년말 까지 5학년 말까지 8학년 말까지 12학년 말까지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그리고 다른 이들과….
D2.Civ.7.K-2.학교에서 참여할 때 시민 가치 (civic virtue)를 적용한다. D2.Civ.7.3-5.학교 현장에서 시민 가치와 민주주의 원리를 적용 한다. D2. Civ. 7.6-8.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시민 가치와 민주주의 원리를 적용한다. D2.Civ.7.9-12.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할 때, 시민 가치와 민주원리를 적용한다.
D2.Civ.8.K-2.평등, 공평, 법치와 규칙에 대한 존중 등 민주 원 리를 묘사한다. D2.Civ.8.3-5.정부, 사회, 지역 사회를 안내하는 주요 시민 가치와 민주 원리를 명확히 한다. D2. Civ. 8.6-8.미국 건국 자료에 포함된 아이디어와 원리를 분석하 고, 어떻게 사회 정치 구조에 영향을 미쳤는지 설명한다. D2.Civ.8.9-12.다른 맥락과 시간, 그리고 장소에서 시민 가치와 민 주 가치를 함양하고 민주 원리를 작동시키는 사회적 정치적 시스템을 평가한다.
D2.Civ.9.K-2.집단에서 결정을 내리거나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다른 사람에게 주의를 기울 여 대답하는 등 토론의 법칙을 따른다. D2.Civ.9.3-5.집단으로 결정을 하거나 판단을 할 때 토의 과정을 거친다. D2. Civ. 9.6-8.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집단들이 사용하는 토의 과정을 비교한다. D2.Civ.9.9-12.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토론과정을 사용한다.
D2.Civ.10.K-2.다른 사람들의 견해와 자신들의 견해를 비교한다. D2.Civ.10.3-5.시민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다른 이들의의 견에 함의하고 있는 믿음, 경험, 관점과 가치를 명확히 한다. D2.Civ. 10.6-8.사람들이 정부와 시민 사회의 문제와 이슈를 언급 할 때, 개인적 흥미와 관점, 시민 가치와 민주 원리의 관계를 설명한다. D2.Civ.10.9-12.시민 가치, 민주 원리, 헌 법상의 권리와 인간으로서의 권리의 적용에 대해 개인의 관점과 관심을 분석 한다.
주: NCSS(2013) p. 33의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제시함. 각 성취기준 앞의 숫자표시 (a.b.c)가 나타내는 것은 a는 단계, b는 성취기준 순번, c는 학년군을 타나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