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문항 내용 | 문항수 |
---|---|---|
학업 성취수준 파악 | 평가 결과를 통한 성취수준 파악 | 4 |
교수 · 학습방법 개선 | 수업방법, 수업내용, 수업운영 등의 조정 | 5 |
학업 성취 추이 분석 | ‘기초학력미달’ 학생 비율의 변화 파악 | 3 |
학업성취 배경변인 분석 | 학교특성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의 활용 | 4 |
교육정책 시행 및 장학 | 학교별, 교육청별 학업성취 비율 공개의 긍정적 활용 | 4 |
평가 전문성 신장 | 새로운 평가 방법, 결과 제시 방법 개발 | 3 |
교육과정 정착 | 교육과정의 충실한 운영 | 4 |
교사의 성취수준 인식 | 성취수준 분할 기준의 적절성 | 3 |
교사의 평가 성향 | 절대/상대 평가 활용 | 3 |
일반적인 학업성취 결정 요인 | 학교 및 학급 환경 | 6 |
계 | 40문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