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진술된 결과 및 결과타당도 증거

결과와 이해관련자 결과적 증거 조사 방법
• 학교행정가와 교사가 기준(standard)에 따라 교수 및 교육과정을 개선하 도록 동기화되었다. • 기준과 평가에 대한 친숙성• 기준과 평가에 대한 신념과 태도 • 교사와 교장 설문지
•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 지고, 자원 활용이 가능하다. • 전문성 향상 지원의 성격• 전문성 향상 지원의 규모 • 교사와 교장 설문지
• 교수와 교육과정이 기준에 맞게 개선되었다. • 교수 및 교실 평가 내용이 주단 위 평가와 기준을 반영하는 정도• 교수와 교실평가 전략이 기준에 맞게 설정되는 정도 • 교사, 교장, 학생 설문지• 교수와 교실 평가 과제, 채점 기준, 시험 준비 활동과 같은 교실 환경
• 학생들은 평가에 최선을 다할 뿐만 아니라, 학습동기가 높다. • 기준, 교수, 평가에 대한 신념과 태도• 평가에 발휘되는 학생의 노력 • 교사와 학생 설문지
• 수행의 향상이 교수·학습과 관계가 있다. • 학교와 학습 향상과 동기, 교수와 교실 평가, 전문성 향상 변수 간의 관계 • 장기간에 걸친 교사, 교장, 학생 설문지• 장기간에 걸친 학급 및 학교의 수행 결과
출처 : Lane & Stone(2002. p. 27), 좌혜정과 성태제(2003, p. 335)를 참고하여 재구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