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교육과정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하였는가? 수업 시간에 교과서를 재구성하지 않고 사용하는 교사가 얼마나 될까? 창의성보다는 얼마나 정확 하고 일관적이며, 전범이 될 만하며, 알기 쉽게 재현했는지가 중요하다.• 26. 국어의 구체적 상황 및 문학의 맥락을 이해 ㆍ 표현하는 데 적절한 제재인가? 원론적인 내용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수정
• 14. 언어 활동의 총체적, 통합적 구조화를 이끌어 내는 효과적 구성인가? ‘통합적’보다는 연계’로 수정하는 것이 좋다.• 12.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국어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습 내용인가? 모호한 표현이다.• 27. 대단원, 소단원, 단위 활동 간 관계가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는가? ‘합리적’보다는 ‘일관성 있게’로 고쳐야 한다.
추가
• 읽기 제재가 타당성, 적절성, 실제성을 갖추었는가?• 학습목표, 대단원, 소단원, 단위 활동 간 관계가 일관적으로 구성되었는가?• 교수 ㆍ 학습에 편리하도록 학습 내용에 알맞은 다양한 학습매체(인터넷 자료, 동영상, 음성 편집자 료, 문헌자료 둥)가 제공되는가?• 제재가 학습 내용을 구현하기 위해 적절한가?, 학습해야 할 내용이 충분히 제시되어 있는가? 등 적절성과 타당성 측면에 더 많은 평가 내용이 마련되어야 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