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원 조직에서 언어 활동의 반 복 ㆍ 심화의 원리가 구현되었는가?• 단원 목표를 중심으로 단위언어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었는가?• 사고 및 언어 활동의 제국면이 중요성에 따라 고르게 배분되었는가?• 수단 언어와 목표 언어가 서로 착종되지는 않는가? | • 다양한 국어 활동의 실천이 가능한 제재인가?• 실제 언어 생활을 다루어 삶에 적용 가능한 방식을 학습하는 활동인가?•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국어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습 내용인가?• 언어 활동의 총체적, 통합적 구조화를 이끌어 내는 효과적 구성인가?• 하위 영역별 학습 내용이 균형있게 선정되었는가?• 국어의 구체적 상황 및 문학의 맥락을 이해 ㆍ 표현하는데 적절한 제재인가? | •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이 각 영역을 통합적으로 구현 할 수 있도록 핵심 내용이 골고루 구성되어 있는가?• 학습 목표와 연계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국어와 생활 국어가 적절하게 연계되어 있는가?• 생활국어는 학생들이 공감할 만한 제재와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가?• 사고력을 확장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는 데 용이한 제재가 선정되었는가?• 다양한 분야의 읽을거리가 제시되어 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