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점

학자 범주 내용
Andreotti (2006, pp. 46-50) 연성적 교육 • 빈곤과 무력감이 세계 문제이며, 이는 당사자의 개발·교육·자원·기술·문화 등의 결핍에서 비롯됨.•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보편적인 인류애, 나눔과 배려, 책임감을 지닌 개인이 문제를 겪고 있는 상대에게 자신의 시간과 전문성, 자원을 나누는 방식이 필요함.
비판적 교육 • 불평등과 부정의가 세계 문제이며, 이는 서로 다른 상황과 차이를 무시하고 착취하고 권한을 빼앗는 복잡한 구조와 체제, 권력 관계 및 태도에서 비롯됨.•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현 시스템과 구조에 대한 우리 모두의 비판적 성찰과 문제 해결에 책임감을 지니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개인이 중요함.
Shultz (2007, pp. 250-256) 신자유 주의적 접근 • 세계시민을 여행자로 상정하고 국경에 국한되지 않는 경제적・사회적 관계의 자유로운 형성을 강조함.• 세계시민성 교육의 중점을 지식과 기능의 초국가적 유동성에 둠.• 교육의 목적은 외국어 습득 능력,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세계에 대한 자유로운 이동에의 참여 촉진에 있음.
급진적 접근 • 글로벌 구조가 불평등을 야기함을 이해하고 불평등에 도전하는 행동가 양성에 초점을 둠.• 전 지구를 가로지르는 자유주의적 관계나 지구적 유대 의식을 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헤게모니의 부산물로 간주함.• 북반구와 남반구 간의 불균등한 관계를 급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글로벌 경제 자유주의적 기구’의 경제적 행위와 사회적 압제 및 경제적 파괴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시민의 이해가 중요함.
변혁적 접근 • 경제・사회적 정의, 지구 보호, 평화에 헌신하는 세계시민 양성에 초점을 둠.• 단일 시장을 상정하는 신자유주의적 접근, 세계화를 새로운 형태의 제국주의로 상정하는 급진적 입장을 모두 거부함.• 전통적인 북반구/남반구 구분이 아니라, 새로운 포함과 배제를 만들어내는 국제적・국가적・지방적 관계의 역동적 집합을 구성하는 것으로 세계화를 이해함.• 다양성을 포용하고 지역적 경험과 공유되는 전 지구적 경험 사이의 연계를 통해 지역적, 국가적 경계를 가로지르는 협력 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함.
Oxley & Morris (2013, pp. 305-319) 코스모 폴리탄 유형 정치적 • 국가나 다른 통치 형태에 대한 개인의 관계에 초점을 두며, 코스모폴리탄 민주주의의 형태에 관심을 가짐.
도덕적 • 개인의 윤리적 입장과 집단 간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며, 주로 인권, 책임, 인류애, 보편적 도덕 규범, 도덕적 감수성 등에 초점을 둠.
경제적 • 권력, 자본 형태, 노동, 자원과 인간의 조건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며, 국제 개발의 담론으로 제시됨.• 세계무역의 이익과 국제 개발을 위한 기술에 초점을 둠.
문화적 • 사회 구성원을 결속, 구분하는 상징에 초점을 두며, 특히 예술, 미디어, 언어, 과학, 기술의 세계화를 강조함.• 다문화주의에 긍정적이며, 다문화적 인식과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강조함.
옹호 론적 유형 사회적 • 개인과 집단 간의 연결, 흔히 글로벌 시민사회로 일컬어지는 ‘민중’의 목소리를 지지함.• 지구 공동체라는 아이디어와 소통, 협력의 강화에 초점을 둠.
비판적 • 탈식민주의 의제를 통해 빈곤층이나 하층민의 삶을 향상시키는 행동을 옹호하기 위해 사회적 규범에 대한 비판을 활용함으로써, 불평등과 억압에 대항하는 도전에 초점을 둠.
환경적 • 자연 환경과 관련된 인간 활동의 변화를 지지하는 데 초점을 두며, 일반적으로 ‘지속가능한 발달’이라는 의제로 불림.
정신적 • 보살핌, 사랑, 정신적이고 정서적인 연관에 관련된 원칙에 대한 헌신을 지지하며, 인간관계의 비과학적이고 측정 불가한 측면에 초점을 둠.
출처: 윤노아(2022, pp. 50-51), 이성회 외(2015, p. 24), 이정우(2017, pp. 61-62), 장의선 외(2015, pp. 20-23), 한비야 외(2021, pp. 18-19) 재인용, 발췌 및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