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진로·학업 설계 지도의 변화

주제 세부 내용
1. 진로·학업 설계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활성화 • 학생들의 과목 선택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및 행사 확대
• 진로상담부와 고교학점제 운영부의 긴밀한 협조 체제 구축
• 학부모 대상 자녀 진로·학업 설계 지도 캠프 운영
• 지역 사회와 연계한 진로 탐색 활동 확대
• 교과 연계 융합형 진로 교육 프로그램 확대 운영
•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주도로 다양한 진로·학업 설계 프로그램 운영
• 과목의 특징과 성취기준에 맞는 다양한 수행평가 시행
• 1,2학년 대상 진로·학업 설계를 위한 다양한 검사 및 진로-적성 탐색 활동 활성화
2. 창의적 체험 활동과 진로 탐색 • 창체 진로 활동 시간에 진로 학업 설계 워크북 작성
• 창체를 통한 진로 탐색 활동의 강화, 진로·학업 계획서 작성
• 진로 관련 주제 선정 연구 및 보고 활동, 학생 주도 맞춤형 창의적 체험 활동 실시
• 진로 연계 창체 활동(자율, 봉사, 동아리 활동)의 다양화
3. 교사의 역할 변화 및 교원 전문성 신장 • 담임교사의 역할 확대 및 진로 교사의 상담 비중 확대
• 교육과정 문해력 신장을 위한 교원 연수 활성화 및 교원 자율학습 공동체구성 및 운영
• 교무 기획부 주관 교육과정 연수, 교육연구부 주관 교사 대상 연수 활발해짐.
• 담임, 교과 교사 등의 책무성이 강화됨.
• 부서 간 협조 및 교원 협업 체제가 이루어짐.
4. 학생의 인식 변화 • 학생 자신의 진로에 맞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진로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 진로와 연계한 과목 선택
• 학생의 자발적 참여와 능동적 진로·학업 설계에 관한 관심도 증가
• 학생들이 기획하는 교육과정 박람회 행사를 통해 스스로 역량을 강화하며 3년간의 학교 교육과정 설계